이용성의 야생초 차 이야기 황어자차

칼럼ㆍ기획

이용성의 야생초 차 이야기 <7>황어자차

꽃을 찌는 시간이나 물 양에 따라 꽃 색이 변해

시티팜뉴스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절정의 순간에 머물러 있는 꽃을 채취해야


fc0ac40b8b23e849af208f17110ed678_1699966414_0938.jpg
 

숱하게 많은 국화 품종 중에서도 차를 만들기 가장 적합한 것  중 하나로 황어자라는 품종이 있습니다. 

 

황어자는 꽃의 크기가 비교적 작은 소국에 속하는데요, 요즘 나오는 십 원짜리 동전만 합니다. 번식도 잘하고 줄기마다 비교적 많은 꽃이 피어서 정원에다 심고 감상하기에도 손색이 없는데요, 개화 기간도 길어서 10월 말경부터 서리가 내린 이후까지도 노란 국화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꽃이 그렇듯 황어자도 사람의 눈으로 볼 때는 꽃이 피고 질 때까지 늘 절정의 순간에 머물러 있는 것 같아도 꽃이 절정에 머물러 있는 순간은 그리 길지 못합니다.

 

몽우리 상태의 꽃은 모양이나 향기가 부족하고, 이미 시들기 시작한 꽃은 꽃잎에 힘이 없어 꽃을 따거나 씻을 때 꽃잎이 낱장으로 떨어져 버립니다.

 

절정의 순간에 머물러 있는 싱싱한 꽃을 채취하는 것은 좋은 차를 만들기 위한 첫 번째 조건이라 할 수 있는데요, 꽃이 피었다 하여 한 번에 많은 양을 욕심껏 채취하는 것보다는 줄기에서 솎아내듯 표나지 않게 채취하여 조금씩 수일에 걸쳐 만드는 것이 좋겠지요.

 

봄꽃과 달리 가을꽃은 차를 만드는 과정에서 꽃 색이 변하곤 합니다.

국화도 차를 만드는 과정에서 노란 꽃 색이 갈색으로 변할 수 있는데요, 꽃의 색깔이 변하면 우선은 색과 모양이 예쁘지 않기도 하지만 국화 특유의 향기도 사라져 버리기에 한번 꽃 색이 변한 국화는 골라서 버려야만 합니다.

 

꽃 색이 변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는데요, 꽂을 찌는 시간이나 물과 꽃의 양 등에 따라서도 꽃의 색깔이 변할 수 있습니다.

 

찜기에 물을 붓고 면포를 덮은 후 물을 먼저 끓인 다음 수증기가 올라올 정도로 물이 팔팔 끓기 시작하면 면포에 국화를 얹어 뚜껑을 덮고 찌게 되는데요, 이때 면포에 얹는 국화의 양은 서로 포개지지 않을 정도로 한 겹이 적당하고요, 찌는 시간은 대략 1분 정도면 됩니다.

 

1분이 지나면 불을 먼저 끈 후 10초 정도 지난 다음에 뚜껑을 열고 꽃을  꺼내어 채반에 널어 말리면 되는데요, 꽃을 꺼내어 말릴 때도 될 수 있으면 노란 꽃잎이 위쪽을 향하도록 하나하나 펼쳐 널어야 합니다.

 

대략 1분 정도 찌고 불을 끈 후 10초 정도를 뜸 들이라고는 했지만, 이 또한 불의 세기나 용기의 크기, 꽃의 양 등에 따라서 조금씩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처음 한두 번은 연습 삼아 만들어 보면서 감을 익히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꽃이 마르는 중간마다 꽃잎이 채반에 붙어 상하는 일이 없도록 수시로 뒤적여주고 다 마른 국화는 밀폐 용기에 담아 보관했다가 기호에 따라 국화의 양을 조절해 가며 수시로 우려 드시면 됩니다.

 

하루가 다르게 날이 차가워지는 계절입니다.

정성 들여 만든 국화차 한 잔으로 몸과 마음이 따뜻한건강한 계절  보내시기를요.


fc0ac40b8b23e849af208f17110ed678_1699966512_2318.jpg


이용성

1968년 전북 대야 출생.

쓴 책으로는 '야생초 차 산과 들을 마신다'가 있다.

철 따라 야생초 차를 만들고 바느질로 마음공부를 하며 현재는 충남 서산에서 전원카페 흰 당나귀를 운영하고 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Category
글이 없습니다.
글이 없습니다.
카카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