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농업의 길을 개척한다!

현장취재

치유농업의 길을 개척한다!

치유농업 사회적 기업, ㈜더채움 대표 이견우

시티팜뉴스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농업을 통한 치유와 건강 


b21e974a32f092b3a46f99858a46280d_1695768549_086.jpg

 

 농업과 농촌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해 건강과 힐링을 추구하는 치유농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치유농업을 통한 사회적 기업 더채움의 이견우 대표(52)는 부산에서 치유농업 분야 1세대 선두주자로 치유농업 활성화를 위해 앞장서고 있다. 

 

 이 대표는 지난 2021년 농촌과 자연을 통한 건강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제정된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첫 시행된 치유농업사자격 시험에서 전국적으로 배출된 93명과 함께 치유농업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지난 20227월 결성된 ()한국치유농업사협회의 부산지회장을 맡아 지난 1년간 치유농업 문화 확산에 주력해 왔다.

 

 대학에서 민속학을 전공한 이 대표는 직장생활을 청산하고 지난 2011년 유아교육 전문회사를 차려 유아들을 위한 영어교육을 주로 해오던 중 텃밭 농사와 원예 등 도시농업을 통한 인성 교육의 중요성을 체감하고 방통대 농학과로 진학, 농업에 대한 전문 지식을 배양해 자신의 교육 프로그램에 치유농업을 적극 접목하고 있다.

 

 현재 이 대표가 경영하는 부산 강서구 공항로의 더채움은 도시농업 전문가 양성 및 농사요령 교육을 비롯 공기정화식물, 도시양봉, 텃밭 정원학교, 교사 직무연수 등 도시농업 프로그램과 함께 문화체험, 영유아, 심리·정서, 복지, 환경개선, 도시 녹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치유농업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21e974a32f092b3a46f99858a46280d_1695768583_6432.jpg
 (주)더채움 직원들과 함께한 이견우 대표(사진 왼편 서있는 사람)

 

 이중 문화체험 영역에서는 정원 놀이, 가족 숲 캠프 등 숲 놀이, 정서함양 영역에서는 장애인 동작 치유 및 노인 힐링 및 행복 소통, 복지영역에서는 시니어 세대를 위한 실버 아트, 치매예방 놀이, 영유아 영역에서는 자연 생태 텃밭교실 등을 운영하고 한천 과일젤리, 수경화분 만들기, 친환경 업사이클링 공예 등 다양한 놀이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스마트 팜 플랫폼, 수직정원, 아치터널, 녹색 커튼, 학교 텃밭 등 각종 도시농업 시설을 시공하는 한편 자체 쇼핑몰(www.thechewoom.com)을 통해 버섯재배, 수경재배 등 다양한 식물재배 키트 및 친환경 식물 영양제 등을 판매하고, 부산 강서구 강동동에 600평 규모의 체험형 치유농장도 자체 운영하고 있다.

 

 ㈜더채움은 사람들은 누구나 행복해야 하고 각자가 존중받고 배려받아야 한다는 가치 아래 연일초등학교, 거제 해맞이 사회적 협동조합 등에서 아동들과 취약계층, 노인,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텃밭 및 원예를 활용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으로 정서 함양 및 치료, 재활을 돕고 있다.


b21e974a32f092b3a46f99858a46280d_1695768728_6587.jpg

  

 이 대표는 북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성화된 치유농업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걸음마 단계이지만 고령화로 소멸 위기를 맞고 있는 농촌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 한편 보건, 상담, 심리 분야 프로그램과 연계해 농촌의 노인문제를 비롯 아동 및 청소년,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정서 함양과 함께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와 취약 계층의 재활 및 치료를 통해 농업의 가치를 확산하고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부산지회 10여명의 치유농업사 회원들과 함께 매월 모임을 갖고 역량 강화 교육과 프로그램 기획을 하며 치유농업 홍보에 주력하고 있는 이 대표는 이제 농업은 식물을 재배하는 차원을 넘어 심신이 지친 현대인들을 치유하는 수단이 되고, 농촌은 힐링을 위한 안식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치유농업의 가치와 밝은 미래를 강조했다./시티팜뉴스

  

b21e974a32f092b3a46f99858a46280d_1695768745_3349.jpg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글이 없습니다.
글이 없습니다.
카카오채널